지난 9일 세상을 떠난 박원순 전 서울시장.

박 전 시장의 사망 소식과 함께 세간의 관심을 모은 것은 그의 성추행 피소 사실이다.

“비서로 재직한 4년간 성추행과 성희롱이 계속됐고,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난 뒤에도 지속됐다” – 피해자 A씨

공직자의 성추문에 충격과 실망의 반응이 나오는 가운데, 일부 여론은 박 전 시장의 비서였던 고소인을 의심하기도 했다.

“4년 동안 성추행을 참았다니, 요즘 시대에 말이되냐”

“비서 말을 다 믿을 수 없다. 왜 하필 이 시기에 폭로했나”

이처럼 폭로의 ‘순수성’을 의심하는 반응은 정치인과 공무원의 성추문이 터질 때마다 나오곤 한다.

2018년에 과거 상관으로부터 성추행당했다는 사실을 폭로해 국내 ‘미투 운동’을 촉발한 서지현 검사.

당시 서 검사의 폭로에도 “검사가 그때 바로 법적 처리를 못하고 한참 지나서 폭로하냐”는 비난이 나왔다.

반복되는 의문, 혹은 의심.

‘성폭력 피해자가 곧바로 반격하지 않았다가 뒤늦게 폭로하는 이유는 뭘까?’

성폭력을 당했을 때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들이다.

죄책감, 스스로를 ‘더럽다’고 느낌, 우울, 성 접촉에 거부감.

그 중 매우 특징적인 반응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다.

PTSD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나서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

PTSD 환자가 겪는 증상은 다양하다.

외상을 떠올리게 하는 단서에 극심한 반응 또는 주변이나 자신에 대한 혐오 등 부정적 감정, 집중력 감소, 기억력 저하 등이다.

지난해 발표된 국내 연구 결과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위험은 일반인의 32배로 나타났다.

또다른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폭력 피해자들의 PTSD 수준은 전쟁터 군인이 겪는 정도로 심각하다.

문제는 PTSD가 사건이 발생하고 한참이 지나서 발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성폭력 발생 후 피해자 중 다수는 자신이 겪은 것이 성폭력이라는 인지조차 하지 못한다.

그러다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특정 단서를 마주치면 머릿속 어딘가에 존재하던 기억의 파편이 살아나는 것이다.

뒤늦게 발현되어 환자를 끈질기게 괴롭히는 PTSD, 이 때문에 “성범죄의 손해배상 청구 시효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장기간에 걸쳐 악화하는 성폭력 피해자의 PTSD 증상.

“왜 뒤늦게 문제삼냐”는 말은 성폭력 피해자를 향한 2차 가해일지도 모른다.

기사출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