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별 재정 목표 세우기

“돈을 모아야지” 막연하게 생각만 하고 계신가요? 통장에 찍히는 숫자를 보며 뿌듯함을 느끼는 것도 잠시, 어느새 소비의 유혹에 흔들리곤 합니다. 이는 우리가 돈을 모으는 ‘목표’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침반 없는 배가 망망대해를 떠다니듯, 목표 없는 재정 관리는 길을 잃기 쉽습니다.

재정 목표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닙니다. 내 집 마련, 자녀 교육 자금, 은퇴 후 여유로운 생활, 혹은 세계 여행 등 삶의 중요한 순간들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죠. 이렇게 명확한 목표는 돈을 모으는 강력한 동기가 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재정 목표를 세워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생애주기’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20대: 종잣돈 마련과 자기 투자 사회 초년생 시기에는 공격적인 종잣돈 마련이 중요합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고, 미래 소득을 늘릴 수 있는 자기 계발이나 투자에 아낌없이 투자하세요. 이 시기의 투자는 미래의 더 큰 소득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30대: 내 집 마련, 자녀 교육 자금의 시작 결혼과 출산이 많아지는 30대는 재정 목표가 더욱 다양해지는 시기입니다. 내 집 마련과 자녀 교육 자금 마련이라는 큰 목표를 세우고, 이에 맞춰 구체적인 저축 계획과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때 무리한 대출보다는 현실적인 목표 설정이 중요합니다.

-40대: 노후 준비의 가속화와 자녀 교육비의 정점 자녀 교육비 지출이 정점에 달하는 40대이지만, 동시에 노후 준비를 본격적으로 가속화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지난 칼럼에서 말씀드렸듯, 자녀 교육과 부모의 노후는 결코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 비율 기반 저축을 유지하며 자녀를 위한 투자와 나를 위한 투자의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50대: 은퇴 준비의 마무리와 자산 점검 은퇴가 눈앞에 다가오는 50대에는 은퇴 자금의 안정적인 운용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위험성이 높은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자산 배분으로 전환하고, 축적된 자산이 은퇴 후 생활비로 충분한지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동시에 예상치 못한 의료비 등 비상 자금 확보도 필수입니다.

재정 목표 설정의 실천 팁:

  1. 구체적인 목표액과 기간 설정: ‘몇 년 안에 얼마를 모으겠다’처럼 명확하게 설정하세요.
  2. 예산 관리: 수입과 지출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 저축 여력을 확보하세요.
  3. 정기적인 점검: 목표 달성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세요.

지금 바로, 당신의 삶을 위한 재정 목표를 세워보세요. 명확한 목표는 당신의 돈에 ‘방향’을 제시하고, 흔들림 없이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이끌어 줄 것입니다. 돈이 모이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성취감은 당신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것입니다.

BridgeOne 재정전문가  
박진선  503-880-6191 
12655 SW Center St. Suite 310
Beaverton, OR 97005